
오늘의 말씀과 묵상. 복되신 동정 마리아 모후 기념일(08/22/2020) 제1독서 <주님의 영광이 주님의 집으로 들어갔다.> ▥ 에제키엘 예언서의 말씀입니다. 43,1-7ㄷ 천사가 1 나를 대문으로, 동쪽으로 난 대문으로 데리고 나갔다. 2 그런데 보라, 이스라엘 하느님의 영광이 동쪽에서 오는 것이었다. 그 소리는 큰 물이 밀려오는 소리 같았고, 땅은 그분의 영광으로 빛났다. 3 그 모습은 내가 본 환시, 곧 그분께서 이 도성을 파멸시키러 오실 때에 내가 본 환시와 같았고, 또 그 모습은 내가 크바르 강 가에서 본 환시와 같았다. 그래서 나는 얼굴을 땅에 대고 엎드렸다. 4 그러자 주님의 영광이 동쪽으로 난 문을 지나 주님의 집으로 들어갔다. 5 그때 영이 나를 들어 올려 안뜰로 데리고 가셨는데, 주님의 집이 주님의 영광으로 가득 차 있었다. 6 그 사람이 내 곁에 서 있는데, 주님의 집에서 나에게 말씀하시는 소리가 들렸다. 7 나에게 이렇게 말씀하시는 것이었다. “사람의 아들아, 이곳은 내 어좌의 자리, 내 발바닥이 놓이는 자리다. 내가 이스라엘 자손들 가운데에서 영원히 살 곳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복음 <그들은 말만 하고 실행하지는 않는다.>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23,1-12 1 그때에 예수님께서 군중과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2 “율법 학자들과 바리사이들은 모세의 자리에 앉아 있다. 3 그러니 그들이 너희에게 말하는 것은 다 실행하고 지켜라. 그러나 그들의 행실은 따라 하지 마라. 그들은 말만 하고 실행하지는 않는다. 4 또 그들은 무겁고 힘겨운 짐을 묶어 다른 사람들 어깨에 올려놓고, 자기들은 그것을 나르는 일에 손가락 하나 까딱하려고 하지 않는다. 5 그들이 하는 일이란 모두 다른 사람들에게 보이기 위한 것이다. 그래서 성구갑을 넓게 만들고 옷자락 술을 길게 늘인다. 6 잔칫집에서는 윗자리를, 회당에서는 높은 자리를 좋아하고, 7 장터에서 인사받기를, 사람들에게 스승이라고 불리기를 좋아한다. 8 그러나 너희는 스승이라고 불리지 않도록 하여라. 너희의 스승님은 한 분뿐이시고 너희는 모두 형제다. 9 또 이 세상 누구도 아버지라고 부르지 마라. 너희의 아버지는 오직 한 분, 하늘에 계신 그분뿐이시다. 10 그리고 너희는 선생이라고 불리지 않도록 하여라. 너희의 선생님은 그리스도 한 분뿐이시다. 11 너희 가운데에서 가장 높은 사람은 너희를 섬기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12 누구든지 자신을 높이는 이는 낮아지고 자신을 낮추는 이는 높아질 것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오늘의 묵상> 섬기는 사람이 가져야 할 마음은 무엇일까요? 섬기는 사람은 자기 마음대로 하지 않고 자신이 섬기는 사람의 마음에 들도록 합니다. 그래서 때로는 부모는 자녀를 섬기는 마음으로 살아가는 존재라는 생각을 합니다. 물론 대부분의 부모님이나 자녀들은 자녀가 부모를 섬긴다고 생각하고 부모의 뜻대로 자녀를 키운다고 말하겠지만 사실 따지고 보면 부모는 자녀를 자신의 마음대로 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자녀를 섬기는 부모가 아닐까 싶어요. 하느님은 우리 인간을 섬기십니다. 우리 인간에게 자유 의지를 허락해주셨고 그 자유의지는 선택을, 더 큰 발전으로 우리 인류를 인도해왔습니다. 하느님 마음대로 하지 않으시고 인간을 섬기시는 하느님. 그리고 그 섬김은 십자가라는 사랑으로 우리 안에 완전히 드러났습니다. 그러므로 섬김은 사랑이 있어야만 가능한 일입니다. 물론 직무상으로 윗 사람을 섬길 수는 있지만 오직 사랑만이 참된 의미의 섬김을 가능하게 합니다. “나 중심”이 아니라 “너 중심”이 섬김입니다. 그리고 결국 “너 중심”이 “나 중심”임을 깨닫게 되겠지요. 사랑의 관계에서 너와 나는 완전히 다르지 않은 존재로서 마침내 자리매김할테니까요. 좋은 오늘입니다. 하느님이 세상을 사랑하시는 그 섬김으로, 부모가 자녀를 사랑하시는 그 섬김으로, 오늘을 온전히 사랑으로 채워가시기를 진심으로 기도드립니다. 섬김은 사랑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