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말씀과 묵상. 부활 제7주간 토요일(05/22/2021) <제1독서> ▥ 사도행전의 말씀입니다. 28,16-20.30-31 16 우리가 로마에 들어갔을 때, 바오로는 자기를 지키는 군사 한 사람과 따로 지내도 좋다는 허락을 받았다. 17 사흘 뒤에 바오로는 그곳 유다인들의 지도자들을 불러 모았다. 그들이 모이자 바오로가 말하였다. “형제 여러분, 나는 우리 백성이나 조상 전래의 관습을 거스르는 일을 하나도 하지 않았는데도, 예루살렘에서 죄수가 되어 로마인들의 손에 넘겨졌습니다. 18 로마인들은 나를 신문하고 나서 사형에 처할 만한 아무런 근거가 없으므로 나를 풀어 주려고 하였습니다. 19 그러나 유다인들이 반대하는 바람에, 나는 내 민족을 고발할 뜻이 없는데도 하는 수 없이 황제에게 상소하였습니다. 20 그래서 여러분을 뵙고 이야기하려고 오시라고 청하였습니다. 나는 이스라엘의 희망 때문에 이렇게 사슬에 묶여 있습니다.” 30 바오로는 자기의 셋집에서 만 이 년 동안 지내며, 자기를 찾아오는 모든 사람을 맞아들였다. 31 그는 아무 방해도 받지 않고 아주 담대히 하느님의 나라를 선포하며 주 예수 그리스도에 관하여 가르쳤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 요한이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21,20-25 그때에 20 베드로가 돌아서서 보니 예수님께서 사랑하시는 제자가 따라오고 있었다. 그 제자는 만찬 때에 예수님 가슴에 기대어 앉아 있다가, “주님, 주님을 팔아넘길 자가 누구입니까?” 하고 물었던 사람이다. 21 그 제자를 본 베드로가 예수님께, “주님, 이 사람은 어떻게 되겠습니까?” 하고 물었다. 22 예수님께서는 “내가 올 때까지 그가 살아 있기를 내가 바란다 할지라도, 그것이 너와 무슨 상관이 있느냐? 너는 나를 따라라.” 하고 말씀하셨다. 23 그래서 형제들 사이에 이 제자가 죽지 않으리라는 말이 퍼져 나갔다.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그가 죽지 않으리라고 말씀하신 것이 아니라, “내가 올 때까지 그가 살아 있기를 내가 바란다 할지라도, 그것이 너와 무슨 상관이 있느냐?” 하고 말씀하신 것이다. 24 이 제자가 이 일들을 증언하고 또 기록한 사람이다. 우리는 그의 증언이 참되다는 것을 알고 있다. 25 예수님께서 하신 일은 이 밖에도 많이 있다. 그래서 그것들을 낱낱이 기록하면, 온 세상이라도 그렇게 기록된 책들을 다 담아 내지 못하리라고 나는 생각한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오늘의 묵상>
증언과 기록 역사란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에드워드 헨릿 카)입니다. 수많은 증언과 기록들이 오늘에 살아와 오늘을 구성하고 내일을 준비합니다. 제가 이 글을 쓰고 있는 이 순간에도 오늘은 과거가 되고 다음 문장쯤을 구상한다면 미래가 됩니다. 과거가 없는 오늘이 없고 오늘이 없는 내일이 없는 셈입니다.
그래서 예수님의 제자들은 예수님에 관한 기록을 남깁니다. 그러므로 과거의 예수님은 오늘에 살아계시고 내일 살아나십니다. 역사의 예수님은 살아계신 예수님이 되는 것입니다. 예수님에 관한 이야기를 실은 복음서의 저자에게서 오늘 우리에게 던지는 메시지를 보려고 합니다. 그리고 어떤 마음으로 이보다 훨씬 어려운 여건에서도 그러한 기록을 남기려고 얼마나 애썼는지도 헤아려보려 합니다. 그러면 내 안에 예수님이 살아오십니다. 나는 나의 뜻으로만 해석하지 않으려고 하느님의 도우심이신 성령을 청합니다. 나의 예수님이 아니라 예수님 자신을 내 안에서 다시 만나기 위해서입니다. 증언과 기록은 그러므로 오늘의 나를 향하여 외치는 소리입니다. 복음과 성경은 나에게 다가오는 하느님의 소리입니다. 나는 오늘 내 삶을 통해 새로운 복음을 써내려 갑니다. 내가 만났고 경험했고 살아가는 하느님을 내 삶을 통해 기록하는 복음을 쓰는 것입니다. 우리의 모든 현재가 복음이 되어야 합니다. 지속적으로 40주년을 준비하며 옛일을 살피고 새롭게 보정하고 확정지음은 그러한 역사의 일환이고 우리 공동체의 복음입니다. 그런 정성으로 노력합니다. 형제 자매 여러분, 당신 삶이 복음입니다. 당신이 바로 주님의 복음입니다. 이것을 잊지 마십시오. 당신이 오늘 만나는 교회, 숱한 일들, 사건들이 바로 하느님 안에서 비춰졌을 때 그것은 바로 복음이 되는 것입니다. 당신의 해석과 당신의 실천과 당신의 삶이 복음입니다. 그리고 언제나 이렇게 또 “오소서 성령이여”하고 기도드림은 나의 개인적 역사가 하느님 안에 살아있을 때 그것이 복음임을 알기에 그러합니다. 당신은 오늘 어떠한 복음을 써내려 가고 싶습니까? 평화가 함께 하시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