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말씀과 묵상

Title오늘의 말씀과 묵상. 연중 제6주간 수요일(02/16/2022)2022-02-16 01:04
Name

mb-file.php?path=2022%2F02%2F16%2FF2016_%EB%B0%94%EB%A1%9C%20%EA%B7%B8%EB%95%8C%EA%B0%80.jpg
 


오늘의 말씀과 묵상. 연중 제6주간 수요일(02/16/2022)

 

<1독서> 야고보서 1, 19-27

 

19 나의 사랑하는 형제 여러분, 이것을 알아 두십시오. 모든 사람이 듣기는 빨리 하되, 말하기는 더디 하고 분노하기도 더디 해야 합니다.

20 사람의 분노는 하느님의 의로움을 실현하지 못합니다.

21 그러므로 모든 더러움과 그 넘치는 악을 다 벗어 버리고 여러분 안에 심어진 말씀을 공손히 받아들이십시오. 그 말씀에는 여러분의 영혼을 구원할 힘이 있습니다.

22 말씀을 실행하는 사람이 되십시오. 말씀을 듣기만 하여 자신을 속이는 사람이 되지 마십시오.

23 사실 누가 말씀을 듣기만 하고 실행하지 않으면, 그는 거울에 자기 얼굴 모습을 비추어 보는 사람과 같습니다.

24 자신을 비추어 보고서 물러가면, 어떻게 생겼었는지 곧 잊어버립니다.

25 그러나 완전한 법 곧 자유의 법을 들여다보고 거기에 머물면, 듣고서 잊어버리는 사람이 아니라 실천에 옮겨 실행하는 사람이 됩니다. 그러한 사람은 자기의 그 실행으로 행복해질 것입니다.

26 누가 스스로 신심이 깊다고 생각하면서도 제 혀에 재갈을 물리지 않아 자기 마음을 속이면, 그 사람의 신심은 헛된 것입니다.

27 하느님 아버지 앞에서 깨끗하고 흠 없는 신심은, 어려움을 겪는 고아와 과부를 돌보아 주고, 세상에 물들지 않도록 자신을 지키는 것입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마르코 8, 22-26

 

그때에 예수님과 제자들은 22 벳사이다로 갔다. 그런데 사람들이 눈먼 이를 예수님께 데리고 와서는 그에게 손을 대어 주십사고 청하였다.

23 그분께서는 그 눈먼 이의 손을 잡아 마을 밖으로 데리고 나가셔서, 그의 두 눈에 침을 바르시고 그에게 손을 얹으신 다음, “무엇이 보이느냐?” 하고 물으셨다.

24 그는 앞을 쳐다보며, “사람들이 보입니다. 그런데 걸어다니는 나무처럼 보입니다.” 하고 대답하였다.

25 그분께서 다시 그의 두 눈에 손을 얹으시니 그가 똑똑히 보게 되었다. 그는 시력이 회복되어 모든 것을 뚜렷이 보게 된 것이다.

26 예수님께서는 그를 집으로 보내시면서 말씀하셨다. “저 마을로는 들어가지 마라.”

 

주님의 말씀입니다.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오늘의 묵상>

 

왜 예수님은 굳이 눈먼 이의 손을 잡아 마을 밖으로 데리고 나가셨을까요?

그리고 눈먼 이의 눈을 고쳐 주신 후에는 저 마을로는 들어가지 마라하셨을까요?

가끔 복음을 묵상하다 보면 아무에게도 이야기하지 말라하신 권고의 말씀들도 듣게 됩니다.

무엇보다 하느님의 기적의 힘을 사람들에게 마치 알리지 말라고 하시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사실 새롭게 거듭난 사람은 새로운 삶을 살아가야 합니다.

예전에 살던 곳에서 새로움을 인정받기란 참 어려운 법입니다.

그 사람은 새로워졌지만, 그것을 바라보는 사람들은 여전히 그대로이기 때문입니다.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 담아야 합니다.

그래야 부대도 찢어지지 않고 포도주도 새지 않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의 관심은 참 다양해서 여기저기 온갖 흥미를 느끼는 것처럼 보이다가도 이내 자신의 주된 관심사에로, 즉 자신에게로 다시 돌아가기 마련입니다.

참된 구원의 뜻을 알아차리기 전에 그저 놀라운 일에만 관심을 기울이죠.

 

기적이 그저 소일거리로 머물고 맙니다.

그곳에서 새로운 삶은 얻은 이가 새 삶을 살기란 여전히 어렵습니다.

사람들은 옛날의 그를 기억하고 그가 얻은 놀라운 힘에만 집중하다가 그것마저도 다른 사건들로 시들해져 버리기 때문입니다.

 

사람들과 대화를 하다 보면 어느새 공고한 각자의 성벽을 발견합니다.

정치적 견해이든, 신앙의 삶이든 각자의 이해로 쌓은 높은 성벽이 있습니다.

그 안에서 안전을 느끼며 평안히 살아가면서도 잘살고 있다고 스스로 생각하기에 그것과는 다른 시각을 전하면 불편함을 느끼고 이내 공격적으로 변하기도 합니다.

물론 사회적인 관계들 때문에 그것을 입밖에 잘 드러내지는 않지만 불편한 기색을 알아차리기는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하느님도 건너가지 못할, 들어가지 못할 마음의 성벽을 쌓고 있는 이들이 진정으로 변화하기란 쉽지 않다는 것을 예수님도 아시는 거죠.

그 성벽의 외곽을 화려한 신앙으로 장식하면 이건 그야말로 철옹성이 될 터입니다.

 

굳이 그 성벽의 외곽을 돌며 끊임없이 하느님을 전할 뿐입니다.

그러면 예리고 성벽처럼 허물어질 수도 있겠죠.

그때서야 비로소 그는 그 성 안으로 들어갈 수 있을 것입니다.

 

아무나 그런 일을 할 수는 없기에, 그는 지금 그 마을로 돌아가서는 안됩니다.

누구나 그런 일을 할 수는 있지만, 그는 더 성장해야 하고 더 하느님으로 무장해야 합니다.

그때까지 그는 힘을 기르고 또 길러야 합니다.

 

소리치는 이는 따로 있을 것입니다.

하느님의 소리와 그 소리를 전하는 이들이

성벽을 돌고 돌며 하느님의 소리를 전할 것입니다.

 

주님의 평화가 함께 하시는 오늘이 되시길 기도드립니다.

Comment

(Enter the auto register prevention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