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말씀과 묵상

Title오늘의 말씀과 묵상. 연중 제16주일(07/23/2023)2023-07-23 00:12
Name

mb-file.php?path=2023%2F07%2F23%2FF3276_%EB%B0%80%EA%B3%BC%20%EA%B0%80%EB%9D%BC%EC%A7%80.jpg
 

오늘의 말씀과 묵상. 연중 제16주일(07/23/2023)

 

<1독서> 지혜서의 말씀입니다. 12, 13.16-19

 

13 만물을 돌보시는 당신 말고는 하느님이 없습니다. 그러니 당신께서는 불의하게 심판하지 않으셨음을 증명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16 당신의 힘이 정의의 원천입니다. 당신께서는 만물을 다스리는 주권을 지니고 계시므로 만물을 소중히 여기십니다.

17 정녕 당신의 완전한 권능이 불신을 받을 때에만 당신께서는 힘을 드러내시고 그것을 아는 이들에게는 오만한 자세를 질책하십니다.

18 당신께서는 힘의 주인이시므로 너그럽게 심판하시고 저희를 아주 관대하게 통솔하십니다. 당신께서는 무엇이든지 원하시는 때에 하실 능력이 있으십니다.

19 당신께서는 이렇게 하시어 의인은 인자해야 함을 당신 백성에게 가르치시고 지은 죄에 대하여 회개할 기회를 주신다는 희망을 당신의 자녀들에게 안겨 주셨습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하느님, 감사합니다.

 

<2독서> 사도 바오로의 로마서 말씀입니다. 8, 26-27

 

형제 여러분, 26 성령께서는 나약한 우리를 도와주십니다. 우리는 올바른 방식으로 기도할 줄 모르지만, 성령께서 몸소 말로 다 할 수 없이 탄식하시며 우리를 대신하여 간구해 주십니다.

27 마음속까지 살펴보시는 분께서는 이러한 성령의 생각이 무엇인지 아십니다. 성령께서 하느님의 뜻에 따라 성도들을 위하여 간구하시기 때문입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환호송

 

마태 11,25 참조

알렐루야.

하늘과 땅의 주님이신 아버지, 찬미받으소서. 아버지는 하늘 나라의 신비를 철부지들에게 드러내 보이셨나이다.

알렐루야.

 

<복음>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3, 24-30

 

그때에 예수님께서 비유를 들어 군중에게 24 말씀하셨다. “하늘 나라는 자기 밭에 좋은 씨를 뿌리는 사람에 비길 수 있다.

25 사람들이 자는 동안에 그의 원수가 와서 밀 가운데에 가라지를 덧뿌리고 갔다.

26 줄기가 나서 열매를 맺을 때에 가라지들도 드러났다.

27 그래서 종들이 집주인에게 가서, ‘주인님, 밭에 좋은 씨를 뿌리지 않았습니까? 그런데 가라지는 어디서 생겼습니까?’ 하고 묻자,

28 ‘원수가 그렇게 하였구나.’ 하고 집주인이 말하였다. 종들이 그러면 저희가 가서 그것들을 거두어 낼까요?’ 하고 묻자,

29 그는 이렇게 일렀다. ‘아니다. 너희가 가라지들을 거두어 내다가 밀까지 함께 뽑을지도 모른다.

30 수확 때까지 둘 다 함께 자라도록 내버려 두어라. 수확 때에 내가 일꾼들에게, 먼저 가라지를 거두어서 단으로 묶어 태워 버리고 밀은 내 곳간으로 모아들이라고 하겠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오늘의 묵상>

 

저 가라지를 어찌할꼬?

 

밀밭에 난 가라지. 그냥 두면 밀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줍니다.

생긴 모습이 비슷해서 언뜻 구분하기도 힘들지만 그래도 자라다 보면 가라지인지 밀인지를 구분하게 됩니다.

우리 식으로 치자면 논에 볍씨를 뿌렸는데, 그 벼들 사이에 피가 자라나는 것과 같습니다.

그래서 김매기는 이러한 잡초들을 뽑아내고 흙을 부드럽게 하는 말인데, 이삭이 여물기 전 보통 한여름의 김매기는 여간 힘들고 수고스러운 일이었습니다.

요즘은 제초제를 통해 이 작업을 대신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그래도 언제든지 풀은 또 자라납니다.

 

이곳 미국에서는 정원일 하는 분이 적지 않은데 정원 일이란 절반이 잡초와의 전쟁임을 금방 아실 터입니다.

잡초에 뽑아내든 약을 치면 될 일 일터이지만, 우리 마음에 자라나는 잡초 같은 가라지들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래서 회개는 거듭거듭 되풀이하는 것이라는 말씀을 드리고 한번 뽑아내면 완전한 회개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라는 말씀을 드립니다.

언뜻 보면 꽤 괜찮아 보여도 자세히 들여다보면 또 잡초가 자라나듯, 우리 삶도 끊임없이 완성을 지향해도 자세히 보면 죄의 씨앗이 자라나기도 합니다.

 

그래서 누구도 자신을 자랑하지 말고 부끄러워할 줄 알아야겠다는 생각합니다.

내 마음의 정원에도 잡초가 자라고 내 마음의 밀밭에도 가라지가 자라고 있음을 잊어버리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좀 다른 이야기가 될 수도 있겠습니다만 저 사람은 가라지고 나는 밀이라는 착각이 있습니다.

그러고 나면 저 가라지는 없이 해야 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지요.

그런데 당신이 가라지일 수도 있지 않을까요?

왜냐하면 다른 사람은 당신이 가라지라고 판단하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하느님은 오래 기다려 주시면서 당신이 맺을 열매를 통해 당신을 보십니다.

밀을 맺을지, 가라지가 될지.

그 숱한 기회의 날들이 끝나기 전 당신이 소중한 열매를 맺는 사람이 되기를 기도드립니다.

 

어떻게 가라지가 되냐구요?

사람이 부끄러움을 잃으면 가라지가 되기 쉽습니다.

믿음의 삶에 겸손이 없으면 금새 가라지가 되기 쉬워요.

이것을 늘 마음에 새겨야 되겠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질문이나 한탄은 당신은 갖지 않게 될 것입니다.

저 가라지를 어찌할꼬

 

부지런히 자신을 가꾸어 하느님의 정원에서 아름다운 꽃을 피워올리는 삶이 되셔요.

 

 

 

 

 

Comment

(Enter the auto register prevention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