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말씀과 묵상. 예수, 마리아, 요셉의 성가정 축일(가정 성화 주간.12/26/2021) <제1독서> ▥ 집회서의 말씀입니다. 3,2-6.12-14 2 주님께서 자녀들로 아버지를 영광스럽게 하시고 아들에 대한 어머니의 권리를 보장하셨다. 3 아버지를 공경하는 이는 죄를 용서받는다. 4 제 어머니를 영광스럽게 하는 이는 보물을 쌓는 이와 같다. 5 아버지를 공경하는 이는 자녀들에게서 기쁨을 얻고 그가 기도하는 날 받아들여진다. 6 아버지를 영광스럽게 하는 이는 장수하고 주님의 말씀에 귀 기울이는 이는 제 어머니를 편안하게 한다. 12 얘야, 네 아버지가 나이 들었을 때 잘 보살피고 그가 살아 있는 동안 슬프게 하지 마라. 13 그가 지각을 잃더라도 인내심을 가지고 그를 업신여기지 않도록 네 힘을 다하여라. 14 아버지에 대한 효행은 잊히지 않으니 네 죄를 상쇄할 여지를 마련해 주리라.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제2독서> ▥ 사도 바오로의 콜로새서 말씀입니다. 3,12-21 형제 여러분, 12 하느님께 선택된 사람, 거룩한 사람, 사랑받는 사람답게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동정과 호의와 겸손과 온유와 인내를 입으십시오. 13 누가 누구에게 불평할 일이 있더라도 서로 참아 주고 서로 용서해 주십시오. 주님께서 여러분을 용서하신 것처럼 여러분도 서로 용서하십시오. 14 이 모든 것 위에 사랑을 입으십시오. 사랑은 완전하게 묶어 주는 끈입니다. 15 그리스도의 평화가 여러분의 마음을 다스리게 하십시오. 여러분은 또한 한 몸 안에서 이 평화를 누리도록 부르심을 받았습니다. 감사하는 사람이 되십시오. 16 그리스도의 말씀이 여러분 가운데에 풍성히 머무르게 하십시오. 지혜를 다하여 서로 가르치고 타이르십시오. 감사하는 마음으로 하느님께 시편과 찬미가와 영가를 불러 드리십시오. 17 말이든 행동이든 무엇이나 주 예수님의 이름으로 하면서, 그분을 통하여 하느님 아버지께 감사를 드리십시오. 18 아내 여러분, 남편에게 순종하십시오. 주님 안에 사는 사람은 마땅히 그래야 합니다. 19 남편 여러분, 아내를 사랑하십시오. 그리고 아내를 모질게 대하지 마십시오. 20 자녀 여러분, 무슨 일에서나 부모에게 순종하십시오. 이것이 주님 마음에 드는 일입니다. 21 아버지 여러분, 자녀들을 들볶지 마십시오. 그러다가 그들의 기를 꺾고 맙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2,41-52 41 예수님의 부모는 해마다 파스카 축제 때면 예루살렘으로 가곤 하였다. 42 예수님이 열두 살 되던 해에도 이 축제 관습에 따라 그리로 올라갔다. 43 그런데 축제 기간이 끝나고 돌아갈 때에 소년 예수님은 예루살렘에 그대로 남았다. 그의 부모는 그것도 모르고, 44 일행 가운데에 있으려니 여기며 하룻길을 갔다. 그런 다음에야 친척들과 친지들 사이에서 찾아보았지만, 45 찾아내지 못하였다. 그래서 예루살렘으로 돌아가 그를 찾아다녔다. 46 사흘 뒤에야 성전에서 그를 찾아냈는데, 그는 율법 교사들 가운데에 앉아 그들의 말을 듣기도 하고 그들에게 묻기도 하고 있었다. 47 그의 말을 듣는 이들은 모두 그의 슬기로운 답변에 경탄하였다. 48 예수님의 부모는 그를 보고 무척 놀랐다. 예수님의 어머니가 “얘야, 우리에게 왜 이렇게 하였느냐? 네 아버지와 내가 너를 애타게 찾았단다.” 하자, 49 그가 부모에게 말하였다. “왜 저를 찾으셨습니까? 저는 제 아버지의 집에 있어야 하는 줄을 모르셨습니까?” 50 그러나 그들은 예수님이 한 말을 알아듣지 못하였다. 51 예수님은 부모와 함께 나자렛으로 내려가, 그들에게 순종하며 지냈다. 그의 어머니는 이 모든 일을 마음속에 간직하였다. 52 예수님은 지혜와 키가 자랐고 하느님과 사람들의 총애도 더하여 갔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오늘의 묵상> 찬미예수님. 형제 자매 여러분, 어느덧 2021년의 마지막 주간이 되었습니다. 올 한 해를 마무리하는 이 한 주간 특별히 우리 가운데 사람이 되어 오신 하느님께서 우리 덴버 성당의 모든 가정을 당신의 은총으로 감싸주시기를 기도드립니다. 무엇보다 하느님 안에서 함께 기도하는 가정이 되기를 아울러 기도드립니다. 부부가 함께, 부모와 자녀가 함께 기도하는 가정을 생각하는 것만으로 참 행복합니다. 부디 우리 가정은 함께 기도하는 성가정이 되십시오. 아울러 우리는 믿음 안에서 한 가정이 되었습니다. 우리의 부모님은 하느님이시고 우리는 믿음으로 가족이 된 것입니다. 돌이켜보면 가장 상처를 많이 주고받는 곳도 가정이고 가장 힘겨운 곳도 가정입니다. 그렇지만 또 가장 큰 행복을 주고받는 곳도 가정이고 가장 행복한 곳도 가정입니다. 우리가 한 가족이기에, 그리고 어마어마한 대가족이기에 우리 안에 어려움도 많고 힘겨운 일도 사실 적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저는 오늘 특별히 제2독서의 말씀을 통해 가족 안에서 가장 필요한 은총인 용서에 관해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우리는 사실 특별히 잘난 것도 없습니다. 우리는 그냥 보통 사람이었다가 믿음을 가지고 이 덴버 성당이라는 가족의 일원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우리의 믿음도 영웅적이거나 전혀 새로운 그 무엇이 아닙니다. 우리의 믿음 또한 비슷비슷한 경지입니다. 그러니 우리는 좋은 일을 하면서도, 하느님의 사랑을 지향하면서도 서로 상처를 주고받습니다. 또 우리는 그런 자신의 부정적인 모습들 때문에 용서하지 못하며 자신을 괴롭히기도 합니다. 그러나 용서에는 전제 조건이 없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그냥 사랑하면 용서하는 것입니다. 용서하지 못한다면 아직 나는 사랑의 힘이 부족하구나 하고 생각하고 그 사랑의 힘을 채워줄 수 있는 하느님께 언제나 간절히 기도드리십시오. “하느님, 제 사랑을 채워주십시오. 저를 당신의 사랑으로 가득 채워주십시오.” 제발, 형제 여러분, 용서하게 해 달라고 그렇게 기도하지 말고, 언제나 하느님께 더 큰 사랑과 용서를 청하십시오. 용서할만해서 용서해 주는 것이 아니라 그냥 용서해 주는 것이 사랑입니다. 용서하지 못해서 괴로워하는 것도 사랑입니다. 사랑의 반대말을 그래서 무관심이라고도 합니다. 우리가 하느님 안에 서 있으면, 하느님을 더 많이 사랑하면, 우리는 우리의 가족인 형제를 비로소 용서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아울러 부디 저도 용서해 주십시오. 자주 용서를 청한 저 자신이 부끄럽기도 하지만, 사제를 사랑하는 그 마음으로 용서해 주시는 수많은 형제자매님의 사랑으로 저도 혹여나 용서할 사람이 있다면, 진심으로 용서합니다. 우리는 덴버 성당의 한 가족입니다. 선택할 수도 없는, 때로는 지겹고 어쩔 수 없는 한 가족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 안에서 참으로 행복하고 기쁘게도 살아갈 수 있습니다. 저는 하느님을 믿습니다. 여러분도 하느님을 믿으십시오. 그러면 하느님의 은총이 우리 안에 가득 차 참된 용서와 참된 기쁨을 가져다줄 것입니다. 이 거룩한 한 주간, 우리 모든 가정이 주님 안에서 행복한 한 주간이 되시기를 기도드립니다. 주님의 평화가 함께 하시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