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말씀과 묵상

Title오늘의 말씀과 묵상. 연중 제22주일(08/30/2020)2020-08-30 02:52
Name

mb-file.php?path=2020%2F08%2F30%2FF791_%ED%95%98%EB%8A%90%EB%8B%98%20%EB%95%8C%EB%AC%B8%EC%97%90.jpg
 

오늘의 말씀과 묵상. 연중 제22주일(08/30/2020)

 

1독서

<주님의 말씀이 저에게 치욕만 되었습니다.>>

 

예레미야서의 말씀입니다. 20,7-9

7 주님, 당신께서 저를 꾀시어 저는 그 꾐에 넘어갔습니다. 당신께서 저를 압도하시고 저보다 우세하시니 제가 날마다 놀림감이 되어 모든 이에게 조롱만 받습니다.

8 말할 때마다 저는 소리를 지르며 폭력과 억압뿐이다!” 하고 외칩니다. 주님의 말씀이 저에게 날마다 치욕과 비웃음거리만 되었습니다.

9 ‘그분을 기억하지 않고 더 이상 그분의 이름으로 말하지 않으리라.’ 작정하여도 뼛속에 가두어 둔 주님 말씀이 심장 속에서 불처럼 타오르니 제가 그것을 간직하기에 지쳐 더 이상 견뎌 내지 못하겠습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하느님 감사합니다.

 

2독서

<여러분의 몸을 산 제물로 바치십시오.>

 

사도 바오로의 로마서 말씀입니다. 12,1-2

1 형제 여러분, 내가 하느님의 자비에 힘입어 여러분에게 권고합니다. 여러분의 몸을 하느님 마음에 드는 거룩한 산 제물로 바치십시오. 이것이 바로 여러분이 드려야 하는 합당한 예배입니다.

2 여러분은 현세에 동화되지 말고 정신을 새롭게 하여 여러분 자신이 변화되게 하십시오. 그리하여 무엇이 하느님의 뜻인지, 무엇이 선하고 무엇이 하느님 마음에 들며 무엇이 완전한 것인지 분별할 수 있게 하십시오.

 

주님의 말씀입니다.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누구든지 내 뒤를 따라오려면, 자신을 버려야 한다.>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6,21-27

그때에 21 예수님께서는 당신이 반드시 예루살렘에 가시어 원로들과 수석 사제들과 율법 학자들에게 많은 고난을 받고 죽임을 당하셨다가 사흗날에 되살아나셔야 한다는 것을 제자들에게 밝히기 시작하셨다.

22 그러자 베드로가 예수님을 꼭 붙들고 반박하기 시작하였다. “맙소사, 주님! 그런 일은 주님께 결코 일어나지 않을 것입니다.”

23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돌아서서 베드로에게 말씀하셨다. “사탄아, 내게서 물러가라. 너는 나에게 걸림돌이다. 너는 하느님의 일은 생각하지 않고 사람의 일만 생각하는구나!”

24 그때에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누구든지 내 뒤를 따라오려면, 자신을 버리고 제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라야 한다.

25 정녕 자기 목숨을 구하려는 사람은 목숨을 잃을 것이고, 나 때문에 자기 목숨을 잃는 사람은 목숨을 얻을 것이다.

26 사람이 온 세상을 얻고도 제 목숨을 잃으면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 사람이 제 목숨을 무엇과 바꿀 수 있겠느냐?

27 사람의 아들이 아버지의 영광에 싸여 천사들과 함께 올 터인데, 그때에 각자에게 그 행실대로 갚을 것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오늘의 묵상>

 

하느님 때문에

 

신앙생활을 하면서 하느님 때문에 울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하느님을 원망해보신 적은 있으세요?

하느님으로부터 까닭없이 미움을 받고 있다는 생각을 해보신 적은 있으세요?

그렇다면 당신은 신앙의 길을 열심히 걷고 있는 것이랍니다.

하느님을 미워하고 원망하고 투정부리고 외면하고.

신앙의 길이란 그런 사랑의 길에 어찌 웃음과 기쁨, 행복과 평화만 있을까요?

 

만약 하느님 때문에 손해보고 하느님 때문에 고통받아본 기억이 없다면 오히려 하느님과 함께 하지 못한 것이라 할 수 있답니다.

 

하느님께 드리는 합당한 예배란 과연 내 삶의 십자가 봉헌입니다.

십자가는 영광과 기쁨, 고통과 한숨이 있는 삶의 자리를 말합니다.

 

하느님 때문에라고 생각했지만 결국은 그것을 통해 내 사랑이 깊어지고 원숙해진 것을 경험한 사람만이 비로소 사랑이 무엇인지 압니다.

 

부모님을 잠시나마 원망해본 적 없는 유년시절이란 있을까요?

부모님 때문에 아프고, 자식 때문에 원망하고 그게 가족의 삶입니다.

 

(cool)한 사랑이란 없습니다.

얽매이고 부대끼고 “~ 때문에참고 그런게 신앙의 삶이랍니다.

 

잘한다 생각하다 이게 아닌가 싶고 그래서 포기하고 싶은 그때가 신앙의 한 걸음 깊어지는 때입니다.

 

우리 하느님 때문에살아요.

Comment

(Enter the auto register prevention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