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말씀과 묵상. 복되신 동정 마리아 방문 축일(05/31/2022) <제1독서> ▥ 스바니야 3, 14-18 14 딸 시온아, 환성을 올려라. 이스라엘아, 크게 소리쳐라. 딸 예루살렘아, 마음껏 기뻐하고 즐거워하여라. 15 주님께서 너에게 내리신 판결을 거두시고 너의 원수들을 쫓아내셨다. 이스라엘 임금 주님께서 네 한가운데에 계시니 다시는 네가 불행을 두려워하지 않으리라. 16 그날에 사람들이 예루살렘에게 말하리라. “시온아, 두려워하지 마라. 힘없이 손을 늘어뜨리지 마라.” 17 주 너의 하느님, 승리의 용사께서 네 한가운데에 계시다. 그분께서 너를 두고 기뻐하며 즐거워하신다. 당신 사랑으로 너를 새롭게 해 주시고 너 때문에 환성을 올리며 기뻐하시리라. 18 축제의 날인 양 그렇게 하시리라. 나는 너에게서 불행을 치워 버려 네가 모욕을 짊어지지 않게 하리라.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 루카 1, 39-56 39 그 무렵 마리아는 길을 떠나, 서둘러 유다 산악 지방에 있는 한 고을로 갔다. 40 그리고 즈카르야의 집에 들어가 엘리사벳에게 인사하였다. 41 엘리사벳이 마리아의 인사말을 들을 때 그의 태 안에서 아기가 뛰놀았다. 엘리사벳은 성령으로 가득 차 42 큰 소리로 외쳤다. “당신은 여인들 가운데에서 가장 복되시며 당신 태중의 아기도 복되십니다. 43 내 주님의 어머니께서 저에게 오시다니 어찌 된 일입니까? 44 보십시오, 당신의 인사말 소리가 제 귀에 들리자 저의 태 안에서 아기가 즐거워 뛰놀았습니다. 45 행복하십니다, 주님께서 하신 말씀이 이루어지리라고 믿으신 분!” 46 그러자 마리아가 말하였다. “내 영혼이 주님을 찬송하고 47 내 마음이 나의 구원자 하느님 안에서 기뻐 뛰니 48 그분께서 당신 종의 비천함을 굽어보셨기 때문입니다. 이제부터 과연 모든 세대가 나를 행복하다 하리니 49 전능하신 분께서 나에게 큰일을 하셨기 때문입니다. 그분의 이름은 거룩하고 50 그분의 자비는 대대로 당신을 경외하는 이들에게 미칩니다. 51 그분께서는 당신 팔로 권능을 떨치시어 마음속 생각이 교만한 자들을 흩으셨습니다. 52 통치자들을 왕좌에서 끌어내리시고 비천한 이들을 들어 높이셨으며 53 굶주린 이들을 좋은 것으로 배불리시고 부유한 자들을 빈손으로 내치셨습니다. 54 당신의 자비를 기억하시어 당신 종 이스라엘을 거두어 주셨으니 55 우리 조상들에게 말씀하신 대로 그 자비가 아브라함과 그 후손에게 영원히 미칠 것입니다.” 56 마리아는 석 달가량 엘리사벳과 함께 지내다가 자기 집으로 돌아갔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오늘의 묵상> 어느덧 5월의 마지막 날입니다. 세월의 흐름이 무서울 정도로 빠르다 싶은 생각이 듭니다. 오늘은 성모성월의 마지막 날이기도 하고 복되신 어머니 동정 마리아의 방문 축일이기도 합니다. 특별히 성모님의 전구하심이 가득한 은총의 하루 보내시길 기도드립니다. 사람들은 흔히들 천주교는 성모님을 지나칠 정도로 공경하여 오히려 신성모독에 가까운 종교이다 라고 말하고, 또 악의적인 의도를 가진 어떤 이들은 그리스도교가 아니다 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그런 말을 들을 때면 우리 신자들이 왠지 위축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어머님을 공경함이 마땅하고 오히려 자랑스러워야 되는 것이 아닙니까? 성모님이 보이신 그리스도인으로서의 모범이 얼마나 대단한 일입니까? 하느님의 뜻을 당신의 모든 존재를 걸고 받아들이시고, 그 하느님의 뜻을 따라 평생을 걸어간 분이십니다. 십자가의 죽음에서도, 부활의 시간에서도, 교회가 탄생하는 순간에서도 성모님은 언제나 주님의 뜻 안에서 함께 하셨습니다. 하느님께 모든 것을 바치신 분이십니다. 우리가 그럴 수 있을까요? 우리가 성모님상을 세우고, 그분의 모범을 따라 자주 묵주기도를 바치고, 그 모든 것이 성모님처럼 하느님의 뜻을 실천하려는 노력이 아닙니까? 그러니 형제자매 여러분, 언제나 성모님을 사랑하고 공경하는 것이 오히려 우리의 더 큰 자랑이 되면 얼마나 좋을까요? 가장 아름다운 꽃으로 장식하고, 가장 활발한 생명력의 시간 속에 성모님을 기억하는 것이야말로 우리 그리스도인이 언제나 기울여야 할 노력이 되어야 합니다. 오히려 자랑스러워하고 기뻐하십시오. 성모님의 생애를 통해 그분의 삶이 하느님 안에서 참된 기쁨으로 열매 맺어진 것을 오히려 하느님께 감사드리십시오. 이날, 성모님을 기억하며 그분의 특별한 전구를 언제나 다시금 기억하십시오. 어머니를 사랑하므로 하느님에 대한 우리의 사랑이 더욱 커져갑니다. 요셉 성인을 공경하며 마음에 모심으로 우리는 하느님에 대한 사랑을 더욱 키워갑니다. 수많은 성인·성녀들이 무엇보다 나자렛의 성모 마리아님과 성 요셉을 사랑하였음을 기억합니다. 물러서지 말고, 그러나 비난에 맞설 필요 없이, 쓸모없는 논쟁을 벌일 필요 없이 성모님을 더욱 깊이 사랑하고 본받는 것에 우리의 온 힘을 기울입시다. 그러면 우리는 하느님을 더욱 깊이 사랑하고 찬미하게 될 것입니다. 오늘 성모님을 특별한 마음으로 우리 안에 모십니다. “은총이 가득하신 마리아님, 기뻐하소서. 주님께서 함께 계시니 여인 중에 복되시며, 태중의 아들 예수님 또한 복되시나이다. 천주의 성모 마리아님, 이제와 저희 죽을 때에 저희 죄인을 위하여 빌어주소서. 아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