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말씀과 묵상

Title오늘의 말씀과 묵상. 2023년 12월 20일 수요일2023-12-20 00:24
Name

베들레헴의 구유.jpg
 

오늘의 말씀과 묵상. 20231220일 수요일

 

<1독서> 이사야서의 말씀입니다. 7,10-14

 

그 무렵 10 주님께서 아하즈에게 이르셨다.

11 “너는 주 너의 하느님께 너를 위하여 표징을 청하여라. 저 저승 깊은 곳에 있는 것이든, 저 위 높은 곳에 있는 것이든 아무것이나 청하여라.”

12 아하즈가 대답하였다. “저는 청하지 않겠습니다. 그리고 주님을 시험하지 않으렵니다.”

13 그러자 이사야가 말하였다. “다윗 왕실은 잘 들으십시오! 여러분은 사람들을 성가시게 하는 것으로는 부족하여 나의 하느님까지 성가시게 하려 합니까?

14 그러므로 주님께서 몸소 여러분에게 표징을 주실 것입니다. 보십시오, 젊은 여인이 잉태하여 아들을 낳고 그 이름을 임마누엘이라 할 것입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26-38

 

26 여섯째 달에 하느님께서는 가브리엘 천사를 갈릴래아 지방 나자렛이라는 고을로 보내시어,

27 다윗 집안의 요셉이라는 사람과 약혼한 처녀를 찾아가게 하셨다. 그 처녀의 이름은 마리아였다.

28 천사가 마리아의 집으로 들어가 말하였다. “은총이 가득한 이여, 기뻐하여라. 주님께서 너와 함께 계시다.”

29 이 말에 마리아는 몹시 놀랐다. 그리고 이 인사말이 무슨 뜻인가 하고 곰곰이 생각하였다.

30 천사가 다시 마리아에게 말하였다. “두려워하지 마라, 마리아야. 너는 하느님의 총애를 받았다.

31 보라, 이제 네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을 터이니 그 이름을 예수라 하여라.

32 그분께서는 큰 인물이 되시고 지극히 높으신 분의 아드님이라 불리실 것이다. 주 하느님께서 그분의 조상 다윗의 왕좌를 그분께 주시어,

33 그분께서 야곱 집안을 영원히 다스리시리니 그분의 나라는 끝이 없을 것이다.”

34 마리아가 천사에게, “저는 남자를 알지 못하는데, 어떻게 그런 일이 있을 수 있겠습니까?” 하고 말하자,

35 천사가 마리아에게 대답하였다. “성령께서 너에게 내려오시고 지극히 높으신 분의 힘이 너를 덮을 것이다. 그러므로 태어날 아기는 거룩하신 분, 하느님의 아드님이라고 불릴 것이다.

36 네 친척 엘리사벳을 보아라. 그 늙은 나이에도 아들을 잉태하였다. 아이를 못낳는 여자라고 불리던 그가 임신한 지 여섯 달이 되었다.

37 하느님께는 불가능한 일이 없다.”

38 마리아가 말하였다. “보십시오, 저는 주님의 종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저에게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 그러자 천사는 마리아에게서 떠나갔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오늘의 묵상>

 

다섯째 날 1220: 여관 (루가 2, 6-7)

 

그들이 베들레헴에 가 머물러 있는 동안 마리아는 달이 차서 드디어 첫아들을 낳았다. 여관에는 그들이 머무를 방이 없었기 때문에 아기는 포대기에 싸서 말구유에 눕혔다.”

 

- 보다 불편한 자리를 선택함

 

복음서는 요셉과 마리아가 너무 가난했다는 이야기를 하지 않습니다. 임신 중인 마리아와 요셉이 여관으로 가지 않은 것은 인간적인 동기로는 이해되지 않습니다. 이 문장의 해석은 인간이 하느님께 공간을 내어드리지 않은 것, 인간이 구세주를 맞이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았다는 것으로 이해가 가능합니다.

 

그러나 주제를 뒤집어 생각해 보면 하느님이 여관으로 가길 원하지 않으셨다는 것. 즉 화려한 장소나 사적인 시중을 받을 수 있는 장소를 원치 않으신 것입니다. 이것은 하느님의 자유롭고 의지적인 선택이었습니다. 하느님이 가난한 이들 가운데 당신의 자리를 선택하심을 드러내기 위해 스스로 선택하신 결정이었습니다.

 

하느님은 우리를 위해, 더 불편한 자리를 선택하신 것입니다.

 

하느님께서 당신의 아들을 위해 하신 이 선택은, 만약 우리가 개인적으로나 공동체적으로 우리의 여관, 즉 개인적인 안락함을 포기하고 요셉과 마리아, 예수와 머물기를 원한다면 지금도 유용합니다.

 

고통이나 어려움에 부닥칠 때 선택의 기회는 언제나 두 가지 중에 있습니다. 그곳에 기꺼이 머무를 준비가 되어있는지, 아니면 어떻게 하든 빨리 그 불편함으로부터 벗어나기를 원하는지 우리 자신을 검증할 적합한 기회입니다.

 

* 묵상요점 : 나는 기꺼이 더 불편한 자리를 선택할 용의가 있습니까?

예수님과 함께하기 위해 내가 포기해야 할 안락함은 무엇입니까?

 

Fifth Day : The Life Of Sorrow Which Jesus Led From His Birth.

 

Thought:

Jesus Christ could have saved mankind without suffering and dying. Yet, in order to prove to us how much He loved us, He chose for Himself a life full of tribulations. Therefore the prophet Isaias called Him "a man of sorrows," His whole life was filled with suffering. His Passion began, not merely a few hours before His death, but from the the first moment of His birth. He was born in a stable where everything served to torment Him. His sense of sight was hurt by seeing nothing but the rough, black walls of the cave; His sense of smell was hurt by the stench of the dung from the beasts in the stable; His sense of touch was hurt by the prickling straw on which He lay. Shortly after His birth He was forced to flee into Egypt, where He spent several years of His childhood in poverty and misery. His boyhood and early manhood in Nazareth were passed in hard work and obscurity. And finally, in Jerusalem, He died on a cross, exhausted with pain and anguish.

 

Thus, then, was the life of Jesus but one unbroken series of sufferings, which were doubly painful because He had ever before His eyes all the sufferings He would have to endure till His death. Yet, since our Lord had voluntarily chosen to bear these tribulations for our sake, they did not afflict Him as much as did the sight of our sins, by which we have so ungratefully repaid Him for His love towards us. When the confessor of Saint Margaret of Cortona saw that she never seemed satisfied with all the tears she had already shed for her past sins, he said to her, "Margaret, stop crying and cease your lamenting, for God has surely forgiven you your offenses against Him." But she replied, "Father, how can I cease to weep, since I know that my sins kept my Lord Jesus in pain and suffering during all His life?"

 

Prayer:

O Jesus, my sweet Love! I too have kept Thee suffering through all Thy life. Tell me, then, what I must do in order to win Thy forgiveness. I am ready to do all Thou askest of me. I am sorry, O sovereign Good, for all the offenses I have committed against Thee. I love Thee more than myself, or a least I feel a great desire to love Thee. Since it is Thou who hast given me this desire, do Thou also give me the strength to love Thee exceedingly.

 

It is only right that I, who have offended Thee so much, should love Thee very much. Always remind me of the love Thou hast borne me, in order that my soul may ever burn with love of Thee and long to please Thee alone. O God of love, I, who was once a slave of hell, now give myself all to Thee.

 

Graciously accept me and bind me to Thee with the bonds of Thy love. My Jesus, from this day and forever in loving Thee will I live, and in loving Thee will I die.

 

O Mary, my Mother and my hope, help me to love Thy dear God and mine.

This is the only favor I ask of thee, and through thee I hope to receive it. Amen.

 

 

 

 

 

Comment

(Enter the auto register prevention code)
Prev오늘의 말씀과 묵상. 2023년 12월 21일 목요일2023-12-21
Next오늘의 말씀과 묵상. 2023년 12월 19일 화요일2023-12-19